권력과 소유를 쓰는 법이 달라지다 (행 2:42-47; 4:32-38)

아티클 / 성경 주석

   베드로가 성령이 새로운 공동체를 창설하셨다는 선언을 한 후에, 사도행전은 그런 공동체가 여러 곳에서 아주 빠르게 성장해 나가는 것을 추적해 나간다. 사도행전 2장 42-47절과 4장 32-37절에 요약되어 있는 공동체가 가장 집중적으로 묘사된 공동체다. 실제로, 초대 신자들의 헌신의 범위와 그들이 함께 나눈 삶에 대한 본문의 묘사는 놀랍기 그지없다.[4] 그 둘은 상당한 유사점들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함께 논의해 나갈 것이다.
     

그들이 사도의 가르침을 받아 서로 교제하고 떡을 떼며 오로지 기도하기를 힘쓰니라 사람마다 두려워하는데 사도들로 말미암아 기사와 표적이 많이 나타나니 믿는 사람이 다 함께 있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또 재산과 소유를 팔아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눠 주며 날마다 마음을 같이하여 성전에 모이기를 힘쓰고 집에서 떡을 떼며 기쁨과 순전한 마음으로 음식을 먹고 하나님을 찬미하며 또 온 백성에게 칭송을 받으니 주께서 구원받는 사람을 날마다 더하게 하시니라(행 2:42-47).

믿는 무리가 한마음과 한 뜻이 되어 모든 물건을 서로 통용하고 자기 재물을 조금이라도 자기 것이라 하는 이가 하나도 없더라 사도들이 큰 권능으로 주 예수의 부활을 증언하니 무리가 큰 은혜를 받아 그중에 가난한 사람이 없으니 이는 밭과 집 있는 자는 팔아 그 판 것의 값을 가져다가 사도들의 발 앞에 두매 그들이 각 사람의 필요를 따라 나누어 줌이라 구브로에서 난 레위족 사람이 있으니 이름은 요셉이라 사도들이 일컬어 바나바라(번역하면 위로의 아들이라)하니 그가 밭이 있으매 팔아 그 값을 가지고 사도들의 발 앞에 두니라(행 4:32-37).

 

   이 본문은 직접 일을 묘사하지는 않지만, 흔히 인간이 하는 수고의 결실인 권력과 소유라는 두 실체의 배분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우선 주목해야 할 것은, 그들이 살던 주변 사회와 비교해 볼 때, 크리스천 공동체들은 권력과 소유의 사용에서 아주 다른 풍습들을 기르고 있다는 것이다. 초대 크리스천들은 각 개인이 가진 권력과 소유는 그 개인의 편안함을 위해서 비축해 둬야 하는 게 아니라, 크리스천 공동체의 유익을 위해 사용하거나 지혜롭게 투자해야 하는 것으로 이해했던 게 분명하다. 재화(財貨)는 타인의 선을 위한 것이라는 말이다. 그 어떤 것보다 먼저, 하나님 나라에서의 삶은 타인들의 유익을 위해 일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두 가지를 언급하고 넘어가겠다. 첫째, 이 본문들은 기본적으로 우리 정체성을 크리스천 공동체의 일원으로 이해할 것을 요구한다. 공동체의 유익이 각 개인 구성원들의 유익이라는 말이다. 둘째, 이것은 당시 로마제국을 특징짓고 있던 보호 경제와 근본적으로 결별하는 것이다. 보호 체계하에서 가난한 자들에게 베푸는 부자들의 선심은 체계적인 의무 구조를 만들어 낸다. 베푸는 자에게서 나오는 모든 선심은 그것을 받은 자의 사회적 부채를 내포한다. 이런 체계는 너그러운 후원자(후견인)가 그 후원에 따라오는 영예를 얻기 위한 가짜 선행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5] 한마디로, 로마 경제는 ‘너그러움’(후한 베풂)을 사회적 권력과 지위를 얻는 수단으로 봤다. 그러나 사도행전 2장과 4장의 묘사에는 구조적으로 은혜에 대한 답례를 반드시 해야 한다는 개념이 전혀 나오지 않는다. 크리스천 공동체에서의 기부는 그 혜택을 받는 사람들의 번영에 대한 진정한 관심이 동기가 되어 하는 것이지, 기부자의 영예를 위한 게 아니다. 베풂은 주는 사람하고는 거의 관계가 없고, 그 혜택을 받는 사람하고 관계가 있다.

   이것은 완전히 다른 사회 경제 체계다. 누가복음에서처럼, 사도행전도 기독교 개종은 소유와 권력에 새로운 방향으로 접근하는 결과에 이른다고 주기적으로 입증해 나간다. 나아가 재화는 이웃을 위해 써야 한다는 이 고집은 예수님의 생애와 사명, 무엇보다 예수님이 죽기까지 보이신 자기희생에서부터 명확하게 나타난다.

역사적 맥락 안에서 누가가 쓴 공동체에 대한 요약과 그 두 본문의 병행은 많은 글의 주제가 되어 왔다. Essene/Qumran parallels: Brian J. Capper, “The Interpretation of Acts 5.4,” Journal for the Study of the New Testament 6, no. 19 (1983): 117-131쪽; Brian J. Capper, “The Palestinian Cultural Context of Earliest Christian Community of Goods,” The book of Acts in its Palestinian setting, ed. Richard J. Bauckham (Grand Rapids: Eerdmans, 1995), 323-356쪽에 수록; Greco-Roman friendship parallels: Alan C. Mitchell, “The Social Function of Friendship in Acts 2.44-47과 4.32-37,”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111, no. 2 (1992): 255-272쪽; Greco-Roman utopian parallels: Gregory E. Sterling, “ ‘Athletes of Virtue’: An Analysis of the Summaries in Acts (2.41-47; 4.32-35; 5.12-16),”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113, no. 4 (1994): 679-696쪽; parallels with Greco-Roman associations: Philip A. Harland, Associations, Synagogues, and Congregations: Creating a Place in Ancient Mediterranean Society (Minneapolis: Augsburg Fortress, 2003); John S. Kloppenborg, “Collegia and Thiasoi: Issues in Function, Taxonomy and Membership,” Voluntary associations in the Graeco-Roman world, ed. John S. Kloppenborg, S. G. Wilson (London: Routledge, 1996), 16-30쪽.

기독교 공동체 안에서의 구제가 이런 식으로 기능하는 것은 지금도 찾아보기 어려운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