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실과 거짓 개요

아티클 / TOW 프로젝트가 제공하는 주제별 콘텐츠

참고: “개요”에 해당하는 글은 일의 신학(Theology of Work)의 주요 주제들을 큰 그림으로 보여주고 있다. 만약 특정의 주제를 더 자세히 알고자 한다면 목차를 통해 원하는 주제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개요의 내용 대부분은 웹사이트에서 항목별로 정리된 짧은 소개를 통해 접할 수 있다.

 

 

서론

 

   하나님의 자녀라면 진실을 말해야 한다! 우리 모두가 알고 있는 사실이다. 우리는 무고한 이들을 보호한다거나 국가 안보를 지키는 일과 같은 예외가 있다는 것도 알지만, 예수님께서 당신 스스로를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라고 말씀하신 것을 기억하면서 진리만이 하나님께서 우리를 부르시는 삶의 방식임을 깨달아야 한다.

 

   하지만 직장에서는 진리를 향한 우리의 다짐이 약해질 때가 많다. 직장에서 진실만을 말할 경우 출세하기란 거의 불가능한 것처럼 보일 때도 있다. 심지어는 예수님께서 사셨던 세계와 직장과는 다른 영역처럼 느껴져서 직장에서는 진실이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필립 칸의 경우를 한번 살펴볼까.

 

   필립 칸은 컴퓨터 시동용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인 볼랜드 인터내셔널의 사장으로, 그의 회사는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관망하는 시간이 필요했다. 그가 개발한 소프트웨어는 이미 현장 테스트를 마쳤으며 시장에 출시되어 유통될 준비가 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에게 필요한 건 오직 기회였다. 하지만 칸에게는 (비서 말고는) 직원도 없었으며 비싼 광고 캠페인을 벌일 만한 금전적인 능력도 없었다. 그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그 분야의 전문 잡지인 바이트(Byte)에 광고를 싣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는 2만 달러에 달하는 광고비를 부담할 수 없었으며, 그만한 규모의 담보 융자도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그는 광고를 내기 위해 100퍼센트 신용대출이 필요했다. 그리고 그가 아는 한 그런 대출을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교묘하게 상황을 과장하는 것이었다. 바이트 판매원이 보기에 자신의 회사가 실제보다 훨씬 성업 중인 것처럼 믿을 수 있도록 말이다. 그래서 그는 사무실 공간을 하루 빌려 임시 직원들을 고용했고, 실제로 오지도 않는 전화를 받게 시켰으며, 바이트는 광고를 게재할 후보 회사의 리스트 중에서 저 아래쪽에 있음을 보여주는 폴더도 열어두었다. 그리고 판매원에게 자신의 제품을 광고하기엔 바이트가 적절한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그가 나중에 아이앤씨(Inc.) 매거진과의 인터뷰에 밝힌 바에 따르면, 당시 그의 목표는 바이트 판매원으로 하여금 자기 회사가 광고를 통해 매출을 올린 후 대출을 갚을 만한 능력이 있다고 믿게끔 만드는 것이었다.[1] 그리고 실제로 그의 목표는 정확하게 이루어졌다. 그 광고를 통해 대략 150,000달러어치의 소프트웨어가 팔렸으며, 바이트 광고비도 지불할 수 있었고, 볼랜드 인터내셔널 역시 탄탄대로를 걷게 되었다. 분명한 것은 모든 사람들이 이익을 누렸고 그 누구도 손해를 보지 않았다는 것이다.

 

   칸의 전략은 정직하게 말하는 것과 속이는 것에 대한 중요한 문제를 제기한다. 칸의 의도는 바이트 판매원을 속이고자 했음이 분명해 보인다. 비즈니스 업계에서는 많은 이들이 칸과 같은 행동을 영리한 것으로 평가할 것이며, 반대로 신용을 높여주기 전에 회사를 제대로 알아보지 않은 판매원을 질책할 것이다.[2] 하지만 이러한 시나리오는 많은 이들에게 비윤리적인 행동으로 보인다. 이것은 진실 말하기(truthtelling)와 폭로에 대한 논리 정연한 관점과 이런 관점을 직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볼 때 반드시 탐구해야 할 미묘한 뉘앙스를 보여주고 있다.

 

   이 글에서는 진실 말하기에 대한 성경적 토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사람들 사이의 교류에서 사용되는 확실한 규범을 세우고자 한다. 그리고 이 규범의 예외사항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우리는 믿는 이들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문화에 있어서 진실 말하기가 왜 중요한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런 다음 진실 말하기 개념을 직장에 적용해, 비록 진실 말하기가 굉장히 강력한 규범이긴 하지만 꼭 필요하지 않은 상황들도 있음을 알아볼 것이다. 우리는 과대광고와 선의의 거짓말, 허풍, 그리고 상대방이 진실을 알 필요가 없는 상황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신자들의 삶은 대부분 진리를 추구하는 데 사용되지만, 예외를 설명하기 위해서도 꽤 긴 말들이 필요하며, 이 글의 대부분은 그런 예외의 적정한 한계를 설정하는 데 할애될 것이다. 이 글이 다루고 있는 진리와 거짓의 비율이 실제 신자들의 삶에서 적정하다고 여겨지는 진리와 거짓의 균형 비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은 아니다.

 

Robert A. Mamis, “Managing by Necessity,” Inc. (March 1, 1989).

사업 가운데 진실을 말하는 것이 포커 게임과 같은 것이라는 고전적인 주장에 대해서는 Albert Z. Carr, “Is Business Bluffing Ethical?” Harvard Business Review 46 (January-February 1968), 143-153쪽을 보라.

성경에서는 진실 말하기가 규범이다

목차로 돌아가기

   이 주제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는 주요 성경 구절을 단순히 나열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알 수 있겠지만, 정직과 진실 말하기는 하나님께서 높이 평가하시는 가치들이며, 그분에 대한 진실성과 충실함을 보여주는 삶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 모세의 법은 하나님의 자녀들에게 서로 거짓말하지 말며(레19:11) 서로 거짓 증언하지 말라고 말씀하고 있다(출20:16). 시편 기자 역시 정직하게 행하며 공의를 실천하며 그의 마음에 진실을 말하는 사람을 묘사하고 있다(시15:2). 신약은 정직과 진실함을 그리스도 안에 사는 새로운 신자들의 삶과 연관 지을 때 이를 다시 반복하고 있다(골3:9). 신자들의 첫 번째 표시 중 하나로 낡은 자아를 버리고 그리스도 안에서 새 사람을 입는 것은 진리에 대한 헌신을 의미한다(엡4:24).

 

   정직이라는 덕목은 하나님의 성품을 궁극적인 기반으로 삼고 있으며, 그 말은 하나님께서 진실하시기 때문에 우리 또한 진실해야 한다는 뜻이다. 성경은 하나님께는 거짓이 없다고 말하며(딛1:2), 예수님과 성령님을 모두 진리로 일컫고 있다(요14:6, 16:13, 요일5:6). 이와 비슷하게, 하나님의 말씀 또한 진리라고 불린다(시119:142, 요17:17). 신학적으로 정직함은 덕목으로 여겨지는데 그 이유는 다른 덕목들과 마찬가지로 정직함이 하나님의 성품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 진실한 분이시기 때문에 진실 말하기는 우리가 따라야 하는 도덕적 원칙이며, 우리는 그분의 성품을 따르도록 부르심을 받았다.

 

   또한 하나님께서는 특히 십계명을 통해 사람들에게 진실을 말하라고 명령하고 계시며, 출애굽기에서는 “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 하지 말라”(출20:16)고 말씀하시며,  레위기 19:11에서는 "서로 거짓말하지 말며..."라고 다시 한 번 말씀하신다. 잠언은 진실을 말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우리에게 최선의 결과를 가져다준다고 말한다. "진실한 입술은 영원히 보존되거니와 거짓 혀는 잠시 동안만 있을 뿐이니라."(잠12:19) 즉, 진실 말하기는 윤리, 미덕, 명령과 결과로 나아가는 세 가지 접근법에 속한 성경적인 규범이다. (직장에서의 윤리에 대한 성경적인 접근법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살펴보려면 www.theologyofwork.org에 실린 “직업 윤리”라는 논문을 살펴보라.)

 

   그렇다면, 우리의 관점이 어떻든 상관없이, 성경은 우리에게 진실을 말하라고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정직함 또한 덕목으로 여겨지는데 이는 다른 덕목들과 마찬가지로 정직함이 하나님의 성품에 기반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하나님께서는 진리이시고, 우리는 하나님과 가까운 관계 속에 있길 원하기 때문에, 진실 말하기는 우리가 따라야 하는 도덕적 원칙이다. 진리와 가까워지는 유일한 방법은 진실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하나님의 법은 지시적이다. 즉,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진실을 말하라고 말씀하실 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법은 서술적이다. 즉, 하나님 스스로를 진리라고 칭하신다. 만약 우리를 위한 하나님의 법이 우리가 하나님과 이웃들과의 관계 속에서 어떻게 지내도록 창조되었는지를 서술하는 것이라면, 속임수는 우리의 인간 본성을 거부하며, 우리를 하나님께서 우리를 창조하실 때 세우신 기준에 한참 못 미치게 만들고, 우리 스스로와 이웃에게 상처를 주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의 믿음에 대한 기본적인 태도는 "오직 사랑 안에서 참된 것을” 말함으로써 “범사에 그에게까지 자라는” 것이다. 그분은 “머리니 곧 그리스도”이시다(엡4:15). 이렇게 하는 이유는 "우리는 진리를 거슬러 아무 것도 할 수 없고 오직 진리를 위할 뿐”(고후13:8)이기 때문이다.

 

진실 말하기에 대한 성경의 예외사항

목차로 돌아가기

   하나님께서는 진리와 사랑을 마치 완벽한 결혼생활을 하는 부부처럼 여기셨다. 이들이 결혼을 하면, 갈등은 생겨나지 않는다. 만약 이들이 헤어지면, 우리는 딜레마에 봉착한다. 예를 들어, 사랑이 거짓을 필요로 한다든지 (예컨대, 코리 텐 붐이 유대인들을 그녀의 집에 숨겨두었다는 것을 나치 당원들에게 알리지 않고 거짓말을 한 경우) 진리가 해를 가하는 상황도 (예컨대, 어린 아이로서는 아직 이해할 준비가 안 된 진실을 아이에게 이야기 하는 경우) 있다. 이는 하나님께서 잘못하신 것이 아니라, 이 세상이 타락했기 때문이다. 하나님의 왕국이 실현되기 전까지는 하나님의 자녀들이 진리 안에서 사랑하고, 사랑 안에서 진리를 말하려 노력할 때마다 주기적으로 갈등을 겪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해, 진리 말하기가 성경적 원칙이라고 해서 모든 상황에서 이를 따라야 한다는 절대적 원칙은 아니라는 것이다. 성경에서 거짓이 칭찬을 받는 것까지는 아니지만, 허용되는 것처럼 보이는 상황들이 적어도 두어 개 존재한다. 예를 들어, 신생아였던 모세를 돌보는 일을 맡았던 산파는 모세의 생명과 행복을 지키기 위해 그가 히브리 출신이라는 사실을 숨기고, 바로가 모세를 자신의 친자 중 하나로 믿게끔 만든다(출2:1-1). 또한 라합은 약속의 땅을 살펴보기 위해 미리 찾아온 이스라엘 정탐꾼들의 목숨을 살리고자 여리고의 병사들을 속인다(여2:1-24). 라합은 정탐꾼들의 목숨을 구함으로써 (이 일에 있어 라합의 거짓말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 히브리서 11장에서 하나님의 믿음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게 된다.

 

   이렇듯 일반적인 진리 말하기 원칙에 대한 예외를 보여주는 또 다른 전형적인 사례로는 2차 세계대전 때 코리 텐 붐이 겪었던 유명한 이야기를 들 수 있는데, 이것은 나중에 <주는 나의 피난처(The Hiding Place)>라는 책으로 출판되기도 했다. 그녀와 그녀의 여동생은 유대인들이 나치 당원에게 붙잡혀 포로수용소로 끌려가지 않도록 얼마 동안 이들을 숨겨주었다. 게슈타포는 반복적으로 그녀에게 총구를 겨눈 채 유대인들을 숨겨주고 있는지 물었고, 그녀는 유대인들의 목숨을 지켜주기 위해 당국에 계속해서 거짓말을 하였다.

 

   이것은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도덕적 가치들과 덕목들이 대립하는 진정한 도덕적 갈등이었으며, 텐 붐 자매는 대립하는 가치들을 평가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었다. 이들은 유대인들의 목숨을 살리고자 하는 의무를, 진실을 요구할 권리가 없는 이들에게 진실을 말하는 의무보다 더 중대한 것으로 보았으며 이는 옳은 선택이었다.

 

   이러한 대립은 흔하게 일어나는 것은 아니며, 하나님의 명령이 본질적으로 모순적인 것임을 암시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이러한 대립은 도덕과 관련된 이러한 요구들이 때때로 상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우리의 타락한 세상을 반영하는 것이다. 게다가, 하나님의 명령은 인간의 개념과 언어로 주어지기 때문에, 우리가 하나님의 명령을 이해하는 방식은 인간적인 개념의 한계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인간의 언어는 상호적 모순 없이 모든 상황을 다루지 못하며,[1] 그렇기 때문에 절대적인 것으로 표현되는 것들조차 예외가 있는 것이다. 우리는 때로 모순되는 가치들을 비교해야 하는 상황들이 있음을 알고, 그러한 상황 속에서 하나님께서 우리를 인도해주실 것임을 기대해야 한다. 따라서 진실 말하기가 어겨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말하기보다는, 중요한 도덕적 가치와 상반되는 상황에서는 때때로 예외가 허용되는 일반적인 규칙이라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할 것이다.

 

   실제로 하나님도 타락한 세상의 거짓에 매우 근접한 방식으로 일하기도 하시는 분으로 묘사된다. 특히 구약에 하나님께서 거짓을 통해 일하시는 예시가 많이 나와 있으며, 이것은 하나님께서는 거짓이 없으시다는 개념과 상반되어 혼란스럽게 비쳐질 수 있다(왕상22:23, 렘4:10, 20:7 참고). 하지만 그 모든 상황들은, 이스라엘 백성이 우상에 깊이 빠져 있었고, 곧 있을 망명 생활에서 하나님의 심판을 기다리고 있던 상황이었다. 하나님께서는 이미 이들에게 진실을 명백히 말씀하셨지만 이들은 진실을 거부했으며, 그에 따라 심판이 다가오고 있었다. 확실한 것은 하나님께서 교훈의 수단이 아닌 심판의 수단으로 사람들을 속이셨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진리를 거부할 때, 하나님의 성품마저 그들에게는 속임수로 보였다. 하지만 자기기만에 빠진 이들을 속이시는 하나님의 조치는 그분의 진리의 성품과 모순되지 않는다.

 

   신약에서 이와 비슷한 사건은 데살로니가후서 2:11-12의 바울의 가르침에서 볼 수 있다. "이러므로 하나님이 미혹의 역사를 그들에게 보내사, 거짓 것을 믿게 하심은 진리를 믿지 않고 불의를 좋아하는 모든 자들로 하여금 심판을 받게 하려 하심이라." 여기서 바울은 종말의 시기에 "불법한 자"가 어떻게 자기를 하나님이라고 내세우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기만에 맞서기 위해 하나님께서는 속임수를 사용하시는데, 이는 사람들을 잘못된 길로 이끌고자 하시는 것이 아니라, 진리를 버린 이들을 심판하시기 위해서 이를 사용하신다. 따라서 바울이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딛1:2)이라고 이야기했을 때, 그는 하나님의 성품을 두고 이야기한 것이지만, 타락한 세상에서는 가장 깊은 진리마저 때때로 사랑을 위한 속임수에 싸여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도 인정하고 있다. 코리 텐 붐의 경우는 인간 속에 있는 하나님의 진실한 성품에 따른 정당화될 수 있는 예외가 아니라, 사랑 안에서 더 깊은 진리를 실천한 것이다.

 

진실 말하기를 명백한 도덕 원칙으로 보는 것은 속임수를 규칙적으로 사용하는 특정 직업들에 대한 우리의 상식적인 직관에 항의하기도 한다. 기밀정보 수집을 예로 들어보자. 대부분 국가의 정보기관들이 적국의 중요한 기밀정보를 빼내기 위해 속임수를 사용한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는 사실이다. 게다가 경찰의 잠복근무 또한 조직에 효과적으로 잠입하기 위해 그들의 신분을 숨기고 완전히 다른 사람으로 위장한다. 이러한 직업과 관련해서 속임수의 사용이 필요하다는 사실에 의문을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2] 그리고 물론 포커 게임에서 허풍을 친다든지 스포츠 경기에서 정교한 속임수를 쓴다든지 하는 것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할 사람은 없다. 왜냐하면 이는 게임의 일부로 여겨지며 규칙 내에서 허용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의 그 어떤 경우도 비즈니스 혹은 대부분의 업무가 발생하는 상황들과 완벽히 유사하진 않다. 이후 이 글에서는 "결과가 수단을 정당화하는" 예외 항목들이 국가 안보와 공공의 안전의 차원 외에도 존재하는지에 대해 논의해볼 것이다. 그리고 포커 게임처럼 진실이 기대되지 않는 상황들은 극히 드물며, 직장에서의 행동 규범으로 작용하기 어렵다.[5] 이것은 직장에서 진실 말하기와 관련해 우리가 어떠한 기준들을 따라야 하는지에 관한 중요한 질문들을 제기한다.

 

 

유명한 Kurt Godel의 불완전의 원리(“Über formal unentscheidbare Sätze der Principia Mathematica und verwandter Systeme I,” Monatshefte für Mathematik und Physik 38: 173-98, 1931)는 엄밀히 말하자면 몇몇 오류 명제들을 증명하지 않고도 모든 수학적인 참 명제들을 증명할 수 있는 수학적 언어를 만들기 불가능할 때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수학적 언어는 특별히 일반적인 언어보다 더 일관되도록 고안되었다. 만일 모든 수학적 시스템들이 모순으로 귀결될 수 밖에 없다면, 인간 언어들에 묘사되어 있는 모든 규칙과 논리의 시스템들도 필연적으로 모순을 포함한다고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이것은 현실을 상징적인 용어들, 다른 말로 인간의 언어로 표현하려는 노력에 의해 부과된 근본적인 한계이다.

이러한 예외사항들과 그 정당성에 대한 자세한 논의를 위해서는 Sissela Bok, Lying: Moral Choice in Public and Private Life (New York: Vintage, 1989), 90-106쪽을 보라. 또한 Norman L. Geisler, Christian Ethics: Options and Alternatives (Grand Rapids: Baker Book House, 2001), 113-132쪽과 Scott B. Rae, Moral Choices: An Introduction to Ethics, 3rd edition, (Grand Rapids: Zondervan, 2009), 49-51쪽에 요약되어 있는 것도 살펴보라.

이것에 대한 한 가지 예외사항은 Carr의 " Is Business Bluffing Ethical?”이다. 그의 관점들은 이 논문의 후반에 논의될 것이다.

진실 말하기, 왜 중요할까

목차로 돌아가기

   하나님의 성품을 닮아가는 것 외에, 진실 말하기는 사회의 번영을 위해서도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하나님께서는 극히 드문 상황 외에는 진실을 말하라고 명령하신다. 하나님께서 주신 명령이 충분한 동기가 되긴 하지만, 신학자들과 철학자들은 다른 이유들도 찾아내었다.

 

진실 말하기가 요구되는 진정한 대화

목차로 돌아가기

   진실 말하기는 진정한 소통이 일어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사람들 사이에 진실한 교류가 일어나도록 해준다. 즉, 만약 진실이 기대되지 않는다면, 얼마 안 가서 소통은 완전히 무너져버릴 것이다. 그 누구도 진실을 기대하지 않는 사회에서 사는 삶이란 어떨지 상상해보자. 무엇이 옳고 그른지 어떻게 분간할 수 있겠는가? 진실을 기대하지 않는다면 무엇을 기반으로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한단 말인가? 정직이라는 규범이 없다면 삶은 혼란에 빠질 것이다.

 

   이것이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가 본질적으로 바라본 관점이며, 진실 말하기가 보편화된 원칙이다. (물론 여기서 다루는 보편적 규범에 대한 예외 사항들에 칸트가 동의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칸트는 이 원칙이 유효한 도덕적 원칙에 대한 시험이라 주장하면서, 진실 말하기를 자신의 주요 예시 중 하나로 삼았다. 그는 한 규범이 타당성을 얻으려면,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보편성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의 예시 중 하나는 그 누구도 규범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때 어떠한 상황이 벌어지는지를 가정해서 보여주고 있다. 그는 진실 말하기라는 보편적인 규범 없이는 소통의 토대가 위기에 처할 것이며, 이것을 규범으로 삼고 있지 않은 사회는 제대로 기능하지 않을 것이라고 정확히 지적한다.[1] 이는 사실상 모든 문명이 진실 말하기를 장려하고, 거짓말을 금지하는 일종의 규범이 있었다는 사실을 통해 알 수 있다.[2]

 

Immanuel Kant, Grounding for the Metaphysics of Morals, tr. James W. Ellington, (Indianapolis: Hackett Publishing, 1993, original, 1785), 30-36쪽.   Kant’s essay, “On a Supposed Right to Tell Lies from Altruistic Motives,” ibid 또한 보라.

C.S. Lewis, The Abolition of Man (New York: Macmillan, 1943)를 보라. 특별히 전세계 대부분의 주요 문명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미덕의 목록에 대한 부록을 살펴보라. 이것의 드문 예외사항이 있는데—배반과 사기를 미덕으로 여기는 문화들이 조금 있다. 그 예시를 보려면,  Don Richardson, Peace Child: An Unforgettable Story of Primitive Jungle Treachery, 4th edition (Ventura, California: Regal, 2005)를 보라. 

진실 말하기가 요구되는 신뢰와 협력

목차로 돌아가기

   사람들 사이의 신뢰와 민간적 협력은 진실 말하기를 통해 쌓아진다. 사회가 번영하기 위해, 그리고 신뢰와 신용을 확립하는 말을 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 진리는 매우 중요하다.[1] 신명기 25:15에서 모세의 법은 정직함과 관련된 일들을 이스라엘의 땅 위의 번영과 연관 지으면서 이러한 사실을 강조하고 있다. "오직 온전하고 공정한 저울추를 두며 온전하고 공정한 되를 둘 것이라. 그리하면 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네게 주시는 땅에서 네 날이 길리라." (레위기 19:36도 참고하라.) 이와 비슷하게 잠언 또한 신뢰와 사회적 조화를 이어준다. 잠언 3:28은 이웃 간의 신뢰를 통해 서로를 해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없이 평화 속에서 살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한 발 더 나아가, 잠언은 신뢰를 통해 관계와 공동체를 치유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잠13:17, 25:13). 아담 스미스는 제대로 기능하는 시장 체계의 필수 요건이 정직한 거래와 신뢰라고 밝혔다.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들의 문화가 종종 부패에 빠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신뢰 수준이 낮은 문화에서 사업을 하는 것이 훨씬 어렵고 위험하기 때문이다. 이와 비슷하게, 불신이 가득한 문화에서는 감독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어 기업들이 사업을 하는 데 더 많은 비용이 들게 된다. 이 밖에도 직원들이 자신의 회사를 위해 "한 층 더 노력"하는 것을 꺼려하고, 변화를 받아들이는 데 있어서도 의욕이 없으며, 자신들의 업무도 열심히 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 간접적인 비용도 든다.

 

진실 말하기가 요구되는 인간 존엄성

목차로 돌아가기

   진실 말하기는 인간의 존엄성을 지켜준다. 어떤 사람에게 진실을 말하는 것은 존중을 보여주는 행위이며, 거짓말을 할 때는 존중을 찾아볼 수 없다.

 

   성경은 창세기에서 야곱이 라반을 위해 일한 사건을 통해 이를 보여주고 있다(창29~30장). 야곱은 라헬과 결혼할 권리를 얻기 위해 7년 동안 일했으나 7년의 노동이 끝난 다음 라반은 야곱을 속이고 그가 원하지 않았던 레아를 그의 신부로 바꿔 치기 한다. 이에 당연히 야곱은 라반이 자신을 속이고 모독한 것에 분노한다(창29:25). 야곱은 이후 창세기 30장에서 자신이 라반을 위해 돌보던 가축들 중에서 튼튼한 가축들은 자신이 갖고, 약한 가축들만 라반을 위해 남겨두면서 그 또한 앙갚음을 하고 있다(창30:42).

 

   열왕기하 12장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성전을 수리하는 데 드는 수리비와 관련해, 신뢰할 수 있는 일꾼들에게는 감독자들이 그들이 받는 수리비를 회계하지 아니하였다. 그들은 정직했기 때문에, 성전 수리를 책임지고 있는 왕이나 제사장들에게 존엄과 신뢰로 대우받은 것이다(왕하22:7). 이는 또한 잠언에서 다음과 같이 경고하는 부분에서도 볼 수 있다. “친구의 아픈 책망은 충직으로 말미암는 것이나, 원수의 잦은 입맞춤은 거짓에서 난 것이니라.”(잠27:6). 잦은 입맞춤을 하는 원수는 상대방에게 거짓된 교언 공세를 퍼부으면서, 실제로는 원수임에도 불구하고 그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신과 우정과 신뢰의 관계에 있다고 착각하게끔 만든다. 여기서 거짓말은 사람을 존중할 가치가 있는 존엄한 자가 아닌, 속이는 자의 이기적인 목적 달성을 위해 조종당하는 노리개처럼 대한다. 이러한 모독은 "거짓말 하는 자는 자기가 해한 자를 미워하고 아첨하는 입은 패망을 일으키느니라.”(잠26:28; 또한 26:18-19, 24,26)는 말씀에서도 드러난다.

 

   사람이 의사결정을 자율적으로 내릴 수 있는 권리는 정확한 정보를 근거로 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자신이 속임수에 넘어갔을 때 당연히 권리를 침해당하고 모독당한 것처럼 느끼기도 한다. 사람의 자율권은 속임수에 넘어갔을 때 약화된다. 이는 야곱과 라반의 예시에서 명백하게 드러난다. 야곱은 자신이 선택한 여자와 결혼할 자율권을 라반의 속임수로 인해 철저히 침해당했다. 자신의 선택에 따랐다면 레아와 절대로 결혼하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창29:17-20). 야곱이 라반을 속여 보복한 사건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더 극명하게 드러난다. 라반이 야곱에게 제대로 속지 않았다면, 그는 절대로 자신에게 금전적으로 불리하게 가축들을 돌보도록 내버려두지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창30:42-43).

 

재무 제표는 반드시 진실만을 말해야 한다

목차로 돌아가기

   직장에서 진실 말하기가 지닌 역할을 보여주는 가장 주된 예시는 바로 기업, 정부, 교회, 비영리단체, 개인 등이 재무제표를 준비하는 업무일 것이다. 이러한 주체들은 특정 조건 하에 타인에게 자신들의 재무상태를 정확히 보여주기 위한 목적으로 재무제표를 준비해야 한다.

 

   하지만 종종 하락한 수익성, 줄어든 현금보유액, 논란의 여지가 있는 수준의 임원보상, 급상승하는 채무액 등과 같이 공개하기가 꺼려지는 정보를 공개해야 하는 상황도 있다. 기업체들과 개인들은 이러한 정보를 숨기고 싶어 하겠지만, 이들에게는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법적, 그리고 도덕적인 의무가 있다.

 

   대부분의 재무제표는 보고서의 다양한 측면들을 어떻게 정의하고, 계산하고, 측정하며, 확인하는지를 다루는 규칙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러한 규칙을 따르는 것은 여러 주체들의 재무제표를 정확하게 보여줄 뿐만 아니라 비교할 수 있게 만들어준다. 하지만 규칙만으로는 불충분하다. 주체들은 계약이 제 시간에 완료될 가능성이나 장비의 수명, 금리 전망, 여러 가지 미래 위험 등과 같이 많은 요소에 대한 평가를 반드시 내려야 한다. 기업체 대표들은 종종 자신들의 재정상황을 그대로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것보다는 자신들의 조직에 가장 유리하게 이러한 평가를 조작하고 싶은 유혹에 빠지기도 한다. 실제로 분기마다 수익이 안정되게 보이도록 "수익을 관리"해야 할 의무가 자신들에게 있다고 믿는 이들도 있다. 사업이 번성할 때는 수익을 실제보다 축소시키고, 그렇지 않을 때는 반대로 높이는 방법으로 말이다.

 

   자유국가 혹은 개방국가에서의 그러한 조작은 성경과 사회적 기대, 그리고 법과 규정으로 인해 모두 금지된다. 재무제표에 대해 유일하게 허용되는 기준은, "모든 물질적인 면에서, 주체의 재정상황과 운영활동에 따른 결과, 그리고 현금유동성을 일반적으로 인정된 회계원칙에 맞게 공정하게 밝히는 것"이다.[1] 즉, 진실을 담아야 한다. 이들이 규칙에 따르거나, 거짓 보고를 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아직 충분하진 않다. 이들에겐 실제 상황을 정확하게 보여주어야 하는 더 큰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이는 우리의 모든 보고서가 평가되어야 하는 기준이기도 하다. 보고서가 이를 듣거나 보는 이들에게 상황에 대한 정확한 묘사를 제시하고 있는가? 그렇지 않다면, 이는 진실을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AU Section 411.01, Public Company Accounting Oversight Board, accessed on October 1, 2012 at http://pcaobus.org/Standards/Auditing/Pages/AU411.aspx.

직장에서의 진실 말하기에는 예외가 있을 수 있다

목차로 돌아가기

   진실을 말해야 한다는 기본적인 입장은 명백하지만, 이는 심지어 성경에서조차 완벽하게 절대적으로 가능하다고 여겨지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인 원칙들에는 몇 가지 예외가 존재한다. 물론, 법적으로 허락되는 것이 진실 말하기의 기준을 결정하진 않는다. 다시 말해, 법은 최소한의 도덕적 요소다. 쉽게 말해 도덕적 천장이 아닌 바닥이라고 할 수 있다. 법을 위반하지 않으면서 교묘히 빠져나갈 수 있는 것들은 기준이 될 수 없다.

 

   다음은 진실 말하기의 규범에 있어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몇 가지 예외적인 범주들이다.

 

과대광고/과장

목차로 돌아가기

   오늘날의 많은 광고들이 "악의 없는 과대광고"라고도 할 수 있는 이 범주에 속할 것이다. 이는 광고 문구뿐만 아니라 회사의 제품과 관련되어 만들어진 이미지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CBY 요거트 체인은 스스로를 "국내 최고의 요거트"라고 칭했다. 하지만 그 제품이 정말로 국내 최고의 요거트인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다. 알려져 있는 바에 따르면, 이 회사는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를 모으기 위한 설문조사도 하지 않았으며, 그저 자신들의 의견일 뿐이고, 측정할 수도 없는 그 주장에 대해 그 어떤 증거도 제시하지 않았다. 이 광고는 의심할 여지없이 과장된 것이며, 광고하는 대로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사람들도 거의 없는 과대광고의 한 예시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회사의 이름을 거짓말로 여기진 않는다. 현명한 소비자라면 그러한 주장을 그저 홍보성 과대광고라고 받아들일 것이다.

 

   만약 엄격한 진실 말하기의 기준에 따라 광고의 부풀리기가 사라진다면, 광고는 그저 입증 가능한 사실들만 진술해야 할 것이며, 대부분의 광고들은 소비자에게 호소할 능력을 잃을 것이다.

 

   "이 지역 최고의 피자"도 하나의 슬로건으로 여겨질 뿐, 사실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다. 더 넓은 범위에서 보면, 입증할 수 없는 의견에 대한 진술의 경우 분명하게 "내 의견은...이다"라는 식으로 진술하지 않는다면 그런 진술 또한 진실 말하기를 위반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하지만 우리는 보통 누군가가 의견을 표현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챌 수 있으며, 광고가 일반적으로 수익을 내기 위한 차원의 의견이지, 객관적인 진리를 주장하는 것은 아님을 알고 있다. 우리는 "주인이 생각하기에 이 지역 최고의 피자"라고 부가적인 설명을 들을 필요까지는 없는 것이다. 의견이 옳지 않을 지라도 사회에 가치 있는 것이며, 광고 또한 악의 없는 과대포장을 하고 있다고 해도 가치 있는 것이다. 스포츠팬들이 "우리 팀은 우리나라에서 14번째, 아니면 기껏해야 13번째"라고 응원하거나 사랑하는 연인들이 "난 너를 93%의 마음을 다해 사랑해"라고 말하는 세상에서 정말로 살고 싶은가?

 

   하지만 다음과 같은 광고를 하고 있는 자동차 대리점의 예시를 살펴보자. "신용 문제가 있으신가요? 그 어떠한 신청서라도 환영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광고를 상업적인 과대광고로 인식할 것이기 때문에 글자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이를 보고서 신용이 굉장히 안 좋거나, 방금 파산한 사람들도 신용을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하진 않을 것이다. 우리는 이런 광고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지 않기 때문에, 이것이 그 누구에게도 해가 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어떠한 신청서라도 환영"이라고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모호한 의견을 서술한 광고보다는 오해의 여지가 크다. 일반 사람들이 광고를 보고 정확한 실제 상황을 알아차리지 못한다면, 광고는 그 문구가 실제로 의미하는 바를 설명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 그 회사는 모든 신용거래 신청서가 심사를 거친다는 내용을 포함해야 한다. 혹은 오해의 소지를 최소화하기 위해 광고의 "그 어떠한 신청서라도 환영"이라는 부분을 삭제해야 한다. 여기서의 차이점은 그 주장은 단순한 의견이 아니며 "그 어떠한 신청서라도 환영"한다는 말이 사실이라고 주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만약 이것이 사실이 아니라면, 이는 용납할 수 없는 진실 말하기 위반이다.

 

   광고주들은 또한 광고의 직접적인 문구가 아닌, 제품과 관련지어 내보내는 이미지를 통해 함축적으로 주장할 수도 있다. 남성용 면도 제품들은 보통 아름다운 여성들이 그 회사의 면도기, 면도 크림 혹은 아프터셰이브 로션을 방금 바른 남성들에게 끌리는 이미지를 동반한다. 이는 만약 이 제품을 사용한다면 여러분을 매력적으로 느끼는 아름다운 여성들에게 둘러싸일 것이라고 암시하는 것이다. 또는 적어도 여러분이 좀 더 매력적인 남성으로 느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혹은 그 제품을 사용한다고 해서 스스로를 매력적으로 만들어주지 않을 것이란 사실을 알고 있는 이들의 시선을 아름다운 여성을 통해 사로잡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광고의 심리학적 작용과는 상관없이, 대부분의 현명한 소비자들은 이러한 과대광고를 간파해내며, 제품을 통해 광고에서 그려지는 그러한 효과를 기대하진 않는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를 이성적으로 생각해본다면 위생 제품들이 성적 매력과는 별로 관련이 없다는 사실을 깨달을 것이다. 하지만 그러한 제품들과 연관 지어지는 이미지들은 여전히 광고주들이 가장 선호하는 것들이며, 이러한 형태의 과대광고가 계속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실제로 누군가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키지만 않는다면 우리는 이러한 종류의 과대광고에 과도하게 격분하진 않는다. (이러한 종류의 광고가 부정적인 성적 고정관념을 강조하거나, 여자 혹은 남자를 비하하거나, 건강하지 않은 신체 이미지를 장려하는지의 여부는 이 논의의 범위에서 벗어난다.)

 

   물론, 광고주들이 입증 가능한 주장을 할 때는, 진실을 말하는 광고, 그리고 진실 말하기의 도덕적 필요뿐만 아니라 광고에 있어서 진실을 말하도록 규정하는 법을 지키는 광고라는 점을 부각시킨다. 예를 들어, 치약 제조사가 "5명 중 4명의 치과의사들은 크레스트(Crest)를 추천한다고 응답했습니다."라고 말한다면, 이는 실제로 설문조사를 통해 증명되어야 한다.

 

   또한 광고의 맥락이 아닌 경우에도, 입증할 수 있는 주장들은 진실이어야 한다. 광고가 아닌 주장을 과장하는 경우는 주로 오해를 불러일으키거나, 상황 혹은 개인이 실제보다 더 낫다고 포장하기 위한 의도로 사용된다. 만약 있는 그대로 진실이 전해진다면, 과장했을 때만큼의 긍정적인 인상을 남기지 못할 것이 당연해 보이는 경우다. 예를 들어, 이력서에서 자신의 업무 경력이나 학력을 위조하는 것은 비윤리적인 것인데 이는 이력서를 받는 사람이 사실을 기대하며 그러한 서류에 나타난 사실을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기 때문이다. "제가 이 일에 가장 적합한 사람입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모든 지원자들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바탕으로 한 것이 아님을 모든 이들이 알고 있기 때문에 허용된다. 하지만, 사실과는 다르게 "저는 옥스퍼드 대학교를 졸업했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혹 증명할 수 없는 의견을 낼 때라도, 여러분의 의견을 요청하는 사람은 이를 정확한 평가로서 신뢰하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과장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에 가르치던 학생이나 동료에 대한 의견을 누군가 물었을 때, 여러분이 대답하는 구체적인 주장들은 사실일 것으로 예상된다. 심지어는 "내 최고의 학생 중 한 명"이라는 것처럼 애매한 진술 또한 그 학생이 실제로 대다수의 다른 학생들보다 더 뛰어났을 경우에만 해야 한다.

 

   물론 과장법(요점을 제대로 말하기 위해 과장된 강조를 사용하는 것)은 오늘날 언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비유법이기도 하다. 성경에서도 특히 시로 쓰인 부분에서 이러한 방법이 사용된다. 시편 6:6은 "내가 탄식함으로 피곤하여 밤마다 눈물로 내 침상을 띄우며 내 요를 적시나이다"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내가 깊은 슬픔에 잠겨 있다"라는 것을 과장해서 표현한 것이다. 우리는 이를 보고 정말로 시편 기자의 요가 축축하게 젖거나 침상이 띄워진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만일 네 손이 너를 범죄하게 하거든 찍어버리라. 만일 네 발이 너를 범죄하게 하거든 찍어버리라. 만일 네 눈이 너를 범죄하게 하거든 빼버리라”(막9:43, 45, 47)는 말씀도 과장법을 사용한 것으로 간주된다. 만약 누군가 자신이 다시는 은행을 털지 못하도록 스스로 발을 잘라버린다면 이는 섬뜩한 일일 것이다. 하지만 누군가 여러분의 의견을 묻는다든지, 의견을 제시하는 경우에는 과장법이 기대되지 않는다. 보통의 경우는 실제 의견을 좀 더 명확하게,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설명이 뒤따른다.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 중의 하나는 바로 추천서와 관련된 상황이다. 특히 여러분이 해고를 시킨 직원이 여러분의 추천서 없이는 다른 직업을 찾기 힘든 경우에는 더욱 어렵다. 이에 대하여 대체로 회사 변호사들이 권고하는 일반적인 해결책은, 문제의 그 직원이 명시된 기간 동안 여러분의 회사에서 일했다는 사실 말고는 다른 말을 덧붙이지 말라는 것이다. 하지만 위험한 전 직원의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럴 경우 다른 고용주들이 무능력하고 성품이 나쁘거나 혹은 폭력적인 성향을 지닌 직원으로 인해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회사들은 명예훼손으로 고소를 당할 수도 있는 상황을 피하고자 한다. 법정에서 진리가 절대적인 방어가 될 수 있지만, 대부분의 회사들은 애초에 그러한 소송에 휘말리는 것을 원치 않는다.

 

   따라서 추천서를 쓸 때, 추천하는 사람의 실제 모습보다 더 뛰어나고, 자격이 있는 것처럼 과장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는 공부를 더 하기 위해 다시 학교로 돌아가는 직원들에게 주는 추천서에도 마찬가지다. 이렇게 추천서를 과장하는 관행은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왜냐하면 추천서의 수령인은 그 사람에 대한 솔직한 평가를 통해 그 사람이 특정한 지위나 기관에 적합한지 결정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만일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그 직원과 기관 모두에게 해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장이 흔하게 일어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추천서와 관련한 냉소주의가 생겨났으며, 일부는 이를 가치 없는 것으로 치부하기도 하고 추천서의 전반적인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한다. 소송을 피하기 위해 신중해지면, 후보자가 그 지위에 적당한 사람인지 알려주는 중요한 사실들을 공개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는 꽤 까다로운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진실을 말해야 하는 의무를 위반하진 않겠지만, 추천서를 요청한 이들에게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책을 채택하게 되면, 공정함을 위해 모든 추천서에 적용되어야 한다. 추가 내용을 덧붙이지 않는 추천서가 해당 후보자에 대한 비판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이는 누군가 "비공개"로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부탁하더라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스스로를 잘 보이게 만들기 위해 과장을 하고 싶은 충동에 사로잡힌다. 어쩌면 다음과 같은 말을 하거나 암시할 수도 있다. "지금 말씀하시는 상황을 저도 많이 겪어봤는데, 제가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최선의 방법이라 생각하는 것은 이겁니다." 실제로는 그러한 상황을 단 한번 겪어보았거나 아니면 다른 사람이 겪은 이야기를 그저 들어봤을 뿐이라도 말이다. 사실, 우리가 만약 그러한 상황에서 어떻게 해야 되는지 잘 알고 있다면, 이에 대해 자신 있게 이야기하는 것을 정당하다고 느낄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해보지 않은 것을 해보았다고 말하는 것은 정직함이 기대되는 이러한 상황에서 거짓말을 하는 것이다. 특정한 상황에 직면한 적이 많다고 과장하는 대신, 나라면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하자. 당신이 그러한 상황을 (만약 정말로 보았다면) 보았다고 말하고, 당신이라면 이를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차근차근 설명해줄 수도 있을 것이다.

 

선의의 거짓말

목차로 돌아가기

   "선의의 거짓말"은 대화를 부드럽게 하거나 사소한 언쟁을 모면하고자 하는 거짓말로 그 누구에게도 거의 해를 끼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회의에 지각을 한 경우, 우리는 "차가 너무 막혔어요..." 혹은 "꼭 받아야 하는 전화가 갑자기 걸려왔어요."와 같이 자신의 체면을 살리는 변명을 만들어내고 싶은 충동을 종종 느낀다. 또한 상대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다면 동료에게 당신이 지금 사무실에 없다거나 회의 중이라고 말해달라고 하는 상황도 아주 흔하게 일어난다. 또 다른 종류의 선의의 거짓말은 다음과 같다. "내 친한 친구를 소개할게." (그 동료를 실제로는 별로 안 좋아하면서도), "굉장히 현명하십니다." (어리석음이 명백히 보이는 고객에게), "내가 전화할게" (실제로는 전화할 생각이 전혀 없을 때) 등등.

 

   선의의 거짓말은 악의가 없어 보이는 거짓말이기 때문에 단호하게 반대 입장을 취하긴 어렵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들에 잘 대처해 거짓말을 하지 않고도 곤란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들이 있다. 만약 회의에 늦는다면, 그냥 간단히 “죄송합니다. 일이 좀 생겨서요."라고 말하고 넘기면 된다. 회의에 참석한 사람들이 당신에게 무슨 일이 생겼었는지 꼭 알 필요는 없다. 그리고 이렇게 애매하게 넘어가는 것이 선의의 거짓말보다 낫다. 둘 다 악의는 없더라도 말이다. 이와 비슷하게, 누군가와 이야기하고 싶지 않다면, 지금은 이야기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다른 사람을 통해 전달하면 된다. 당신과 이야기를 하고자 했던 사람이 어떤 상황 때문에 당신이 이야기를 할 수 없는지 자세히 알 필요는 없다. 또한 당신에게 그 이유를 자세히 설명해야 할 의무도 없다. 혹은 그 사람과 직접 대면하고 있는 상황이라면, 그냥 이렇게 이야기하면 된다. "지금 이것에 대한 이야기는 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다시 이야기해보면 좋겠네요."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자세한 설명을 덧붙일 의무는 없다. 불분명하게 이야기하는 것을 반드시 속임수라고 할 수는 없으며, 이유를 솔직하게 다 털어놓지 않는다고 해서 거짓말이라고 할 수도 없다.

 

   선의의 거짓말을 하고 싶은 상황들 중에는 우리가 정직함을 보여야 하는 상황도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회사에서 프레젠테이션을 마친 뒤, 여러분의 평가를 물어보았다고 생각해보자. 이에 대해 "아주 좋았어요. 마음에 들었습니다."라고 말하는 것은 굉장히 쉽고도 효율적인 대답일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되면, 실제로 프레젠테이션이 별로였을 경우 그 사람에게 유용하고 건설적인 피드백을 줄 수 있는 기회를 놓치는 것이다. 따라서 칭찬할 부분은 칭찬해주면서 부족했던 부분도 지적해주어서 그 사람이 다음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개선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어떠한 유형의 속임수들은 비교적 가벼운 것이기 때문에 용인된다고 스스로를 납득시킬 수도 있다. 여러분이 시간을 어떻게 사용했는지에 대해 고용주에게 거짓된 정보를 준다든지, 혹은 비용계정을 부풀리는 것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우리가 이러한 거짓말은 흔하게 일어나는 것이라고 스스로를 납득시킨다면, 특히 이러한 속임수의 유혹에 취약해질 수 있다. 혹은 우리가 겪는 부당함에 대한 보상으로서 이러한 속임수를 정당화하고자 할 수도 있다. "나는 더 많은 몫의 팁을 받을 자격이 있어. 하지만 동료 팻처럼 상사와 부적절한 관계에 있지 않기 때문에 제 몫을 못 받고 있어. 그러니까 나는 현금입출금기에서 돈을 조금 꺼내서 그걸로 보충해야지." 이러한 것은 선의의 거짓말이나 과대광고와 같은 수준을 명백히 넘어선 것이다. 이는 의심하지 않는 상대방을 속이는 것이며, 그 상대가 속지 않는 이상 얻을 방도가 없는 개인적 이득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속임수는 기독교적 윤리와 전혀 맞지 않는 것이다.

 

 

허풍

목차로 돌아가기

   직장에서 가장 흔하게 벌어지는 진실 말하기의 위반 행위는 허풍, 혹은 "상호적인 속임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1] 허풍은 모든 당사자들이 진실을 기대하고 있지 않을 때, 그리고 협상의 일부로 여겨질 때는 정당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는 마치 춤을 추는 두 사람이 모두 음악과 동작을 잘 알고 있는 것과 흡사하다. 일반적으로 정당한 것으로 여겨지는 허풍의 흔한 예는 스포츠 경기나 포커 게임에서 속임수를 쓸 때, 혹은 비서양 국가에서 쇼핑을 하면서 가격을 흥정할 때, 그리고 재판에서 무죄를 주장할 때다. 필립 칸이 바이트 매거진 판매원에게 사용한 허풍은 조금 다른 이야기다. 허풍이 용인될 수 있는 상황은 허풍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는 상황, 즉 모든 이들이 게임의 규칙을 알고 있는 상황이다. 위와 같은 예시들은 명백히 이러한 상황들이며 (칸의 경우는 확실치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누군가가 부정하게 속임수에 넘어갔다고 말하기란 쉽지 않다.

 

   허풍에 대한 가장 전형적인 변론은 1968년 앨버트 카(Albert Carr)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에 발표한 논문일 것이다. 카는 비즈니스가 포커 게임과 유사하며, 모든 이들이 게임의 규칙을 알고 있기 때문에 허풍은 속임수가 아닌 용인되는 관행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흔히 캐비앳 엠프토르(Caveat Emptor, 매수자 위험 부담 원칙) 도덕이라고 불리는 것의 일환으로 이는 진실 말하기에 대한 카의 견해와 상당히 일치한다. 뿐만 아니라, 카는 허풍이 빠른 상황 판단을 요하는 효과적인 비즈니스 관행에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라고 주장한다. 비즈니스에 종사하는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

사무실의 삶 속에서 그들은 더 이상 일개 시민이 아니다. 그들은 다소 다른 윤리적 기준을 반드시 따라야 하는 게임 플레이어들이 된다. 포커에서 사용되는 윤리는 문명화된 인간관계의 윤리적 이상과는 거리가 멀다... 포커 게임에서는 상대 플레이어를 향한 불신이 필요하다. 이는 우정에 의한 호소도 무시한다. 포커에서는 친절함과 솔직함이 아닌 자신의 능력과 의도를 숨기는 교묘한 속임수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한 점 때문에 포커를 부정적으로 보는 사람은 없다. 그리고 비즈니스 게임에서 사용되는 옳고 그름의 잣대가 우리 사회의 지배적인 도덕 전통과 다르다고 해서 그 누구도 이를 부정적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2]

 

   카는 혁신적 개념인 이중도덕을 주장하는데 이는 개인적인 삶의 도덕적 잣대가 비즈니스에 적용되면 경쟁력을 갖출 수 없다는 이유 때문이다. 카는 직장에서는 진실 말하기라는 윤리적 가치를 버리고 포커의 특징에서 볼 수 있는 허풍과 속임수로 대체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 여기서 카는 비즈니스 활동이 반드시 "법규로 정해진 규칙들뿐만 아니라 윤리적 관습까지 포함한 사회의 기본 규칙"[3]을 따라야 한다고 주장한 밀턴 프리드먼(Milton Friedman)과 같은 경제학자들과 대립하게 된다.

 

   성경의 관점에서 보면, 개인적 삶에서의 도덕과 비즈니스의 도덕을 엄격히 양분한 카의 견해는 정당한 비즈니스 윤리로 여겨질 수 없다. 성경은 삶을 여러 개의 도덕적 차원으로 나눠 어떠한 경우에는 예상 밖의 속임수를 이용해 이웃을 부정하게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 글에서 앞서 지적했듯이, 포커 비유는 비즈니스에 적용되지 않는다. 모든 당사자들이 선택에 따라 참여한 것도 아니고 (또한 그들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떠날 수도 없다) 모든 이들이 게임의 규칙을 알고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비즈니스는 게임이 아니다. 여기서 마지막 이유가 특히 중요한데, 그것은 상황을 잘 알고 있는 사람에게 허풍을 치는 것과 잘 모르는 사람을 이용해 이득을 취하는 것을 구분 짓는 경계가 뚜렷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허풍이 잘못된 것은 아니다. 또한 허풍과 협상이 반드시 같은 것도 아니다. 협상의 목표는 선하고 정직한 방법으로 상호적 이익을 가져다주는 공정한 가격에 합의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협상의 일부로 허풍이 이용되기도 한다. 상업부동산 판매나 소송에서 합의를 하는 경우처럼 모든 사람들이 규칙을 알고 있음이 확실한 상황들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쌍방이 모두 최종 합의를 향해 계속해서 진행되는 협상 과정을 기대한다. 하지만 진행되는 협상 과정 중에는 상대방에게 명백한 거짓말을 해서는 안 된다. 자신의 의도를 처음부터 전부 드러내지 않는 것 정도는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객을 대변하는 변호사가 어떤 합의 조정회의에 참석했는데 사건 해결을 위해 100,000달러까지 지불할 수 있는 권한이 있다고 치자. 진실을 말한다고 해서 반드시 처음부터 모든 것을 드러낼 필요는 없으므로, 변호사는 정당하게 75,000달러 정도를 먼저 제안할 수도 있다. 만약 누군가 변호사에게 그 금액이 그가 제안할 수 있는 최고 금액이냐고 자세하게 물어본다면 상황이 복잡해질 것이다. 여기에 "그렇습니다."라고 거짓말을 하는 것보다는, 이 금액이 현재 제안된 금액이라고 간단히 단언하면 된다. 당사자들이 돌아가는 상황을 잘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협상이 반드시 속임수를 수반할 필요는 없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진실을 말하기 위해 처음부터 솔직하게 모든 것을 공개해 결국 협상력을 잃어버리라는 의미는 아니다.

 

   그 어떤 상황에서도 허풍이 제한되는 중요한 경우는 바로 실질적인 정보 공개가 필요할 때다. 즉, 사실에 기반을 둔 정보를 공개하는 것이 거래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필수적인 경우 말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를 판매하려고 하는데 변속장치가 고장나기 일보 직전인 상황이라면, 구매자가 변속장치의 상태가 좋다고 믿도록 유인하는 것은 정당한 방법이 아니다. 만약 내가 그 자동차의 실제 상태를 알려주고 싶지 않거나 알려주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적어도 그 자동차는 "현 상태 그대로" 판매되는 것임을 명시해야 한다. 실제로 많은 사법재판소에서는 판매자가 실질적인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경우 (특히 미국 내에서) 고소를 당할 수도 있다.

 

   협상이라는 상황에서 당사자들은 확인이 불가능한 허위 사실들을 만들어내어 허풍을 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이 조건으로 제 상사가 승인을 내려줄지 모르겠네요", "이게 제가 드릴 수 있는 최선이자 마지막 제안입니다" 혹은 "지금 이 거래를 하고 싶어 하는 다른 기업들이 몇몇 곳이나 돼요"라고 말하는 것이다. 거짓 "사실"을 만들어내는 것이 모든 사람들이 이해하고 있는 게임의 규칙에 속하는 것일까? 어떠한 경우에서는 그럴 수 있다. 협상 초반에 "이 조건이 제가 드릴 수 있는 최종 제안입니다"라고 말한다고 하더라도, 상대측이 능숙한 협상가라면 이를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혹은 어느 한 쪽이 "지금 이 거래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다섯 명이나 있다"고 주장하더라도 상대방은 곧이곧대로 듣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사실에 입각한 것처럼 보이는 진술을 하는 것은 상대방이 이를 허풍의 규칙을 넘어선 것으로 간주할 수 있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리스도인이라면 이러한 종류의 허풍을 치면 안 된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 하지만 신앙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져봐야 할 것이다. "이 방법이 하나님을 높이고 상대측을 존중하는 것일까?"

 

   어떤 면에서 모든 협상은 일반적인 현실의 규칙에 입각해야 하며, 이 경우 사실적 진술들은 참이라고 여겨진다. 예를 들어, 자신이 소유하지 않은 토지를 판매하고자 할 때, 그 누구도 허풍을 타당하게 여기지 않을 것이다. 가장 좋은 접근법은 허풍을 광고와 유사하게 간주하는 것이다. 가격, 조건 등과 같은 항목에 대한 상대방의 태도를 하나의 협상 전술로 보아 과장(혹은 축소)해서 받아들이는 것은 부정직한 것이 아니다. 하지만 사실에 대해 거짓 진술을 하는 것은 정직하지 못한 것이다. 또한, 정말 잘 속아 넘어가는, 즉 허풍이 정당한 것으로 여겨지는 게임의 규칙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대측이 아니고서야 이러한 진술은 실제 사실로 여겨지지 않는다. 거짓된 사실을 만들어내는 대신, 상대방이 잘 모르고 있는 부분에 대해 진술하는 것은 어떤가? "지금 우리에게 값을 제의할 준비가 된 다른 바이어들이 세 명이나 있는데, 이 가격에 제의 받으신 걸 행운으로 아세요”라고 말하는 대신, 이렇게 말하는 건 어떨까? "아시겠지만, 지금 우리에게 값을 제의할 준비가 된 다른 바이어들이 세 명 정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정말 이 가격에 운을 걸어보시겠습니까?"

 

   허풍에 대해 의심을 한다고 해서 그 회사 혹은 개인이 좋은 인상을 남기지 못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사람들은 좋은 인상을 남기기 위해 인터뷰나 프레젠테이션이 있으면 옷을 잘 차려입고, 회사의 사무실은 사람들이 일하거나 방문하기에 보기 좋게 만들어놓는다. 하지만 우리를 가장 보기 좋게 나타내는 것은 우리의 실제 제품이나 우리의 본모습이지, 가상의 인물이나 제품이 아니란 사실은 중요하다. 필립 칸과 바이트 매거진의 이야기에서 칸은 자신이 속고 있는지도 모르는 판매원에게 자신의 회사를 고의적으로 실제 모습과 다르게 보여준다. 이는 허풍의 위험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상황이 명백하고 모든 사람들이 규칙을 알고 있을 때는 허풍이 용인된다고 하더라도, 규칙을 정확히 모르고 있을 수 있는 사람을 속여 이익을 취하고자 하는 유혹은 굉장히 저항하기 힘든 것이며, 이는 애초에 허풍이 시작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알렉산더 힐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상호간의 속임수는... 신중하게 미리 규정된 상황 속에서만 사용되어야 한다... 모든 당사자들이 규칙을 이해하고, 애꿎은 다른 이들이 불리하게 영향을 받지 않는 상황에서 말이다. 그러한 투명한 절차를 시장에서 시행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4]

 

   이러한 관점으로 보면, 필립 칸과 볼랜드의 경우는 정당하지 않은 속임수로 보인다. 교차로에서 정지 신호를 그냥 지나쳤을 때 다른 차를 치지 않았다고 해서 옳은 일은 아닌 것처럼, 술책이 성공적으로 통했다고 해서 정당한 것은 아니다. 볼랜드가 만약 사업에 실패해 바이트 매거진에게 20,000달러를 지불하지 못할 수도 있었다는 걸 고려하면, 그러한 속임수가 정당하지 않음을 더욱 확실히 알 수 있다.

 

   실제로, 칸의 속임수는 모기지 담보부 증권시장의 붕괴로 초래된 세계 경제위기에서 자행된 속임수와 유사하다. 대출기관들은 주택 구매자들이 대출을 상환할 능력이 있는지 확인하지 않고 이들에게 위험도가 높은 대출을 해주었다. 그러고 나서 이들 대출기관들은 해당 대출의 위험 수준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투자자들에게 그 대출을 팔았다. 볼랜드가 운 좋게도 많은 소프트웨어를 판매할 수 있었던 것처럼, 만약 주택 가격이 계속해서 증가했다면, 대출기관은 담보권을 실행해 대출을 상환할 수 있는 충분히 높은 가격에 주택을 판매할 수 있었을 것이며, 투자자들 또한 그들이 어떠한 위험 상황에 처해 있었는지 알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 반대의 상황이 일어났다. 주택 가격이 하락해 대출을 상환하지 못하게 되었고, 경제는 세계적 불황에 빠져들었다. 이는 속임수를 통해 때로 운이 좋으면 이득을 얻을 수도 있지만, 항상 모든 사람들이 이득을 얻고 아무도 피해를 보지 않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 다른 개인이나 조직을 속이는 것은 결국 스스로를 해치는 것이다.

 

   사실, 허풍과 부정 속임수를 구별하기란 쉽지 않다. 여러분이 회사 동료의 승진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그 동료가 믿게 만든 상황을 상상해보자. 그리고 여러분이 대신 승진을 하고자 상사 앞에서 그 동료에 대한 안 좋은 이야기를 했다고 치자. 이는 진실 말하기를 명백히 위반한 것이며 동료에 대한 노골적인 모욕이고, 예수 그리스도의 명예를 손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여러분은 이건 단지 허풍일 뿐이었다고 스스로를 납득시킬 수도 있다. 허풍에 관한 또 다른 문제는 허풍이 합법성이라는 허울 아래 모욕으로 이어지는 문을 연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우리는 모든 당사자들이 허풍에 대해 인식하고 있고, 규칙이 어느 정도까지 허용되는지 확실히 이해하고 있는 상황에서만 허풍을 용인해야 한다. 알렉산더 힐의 경고를 다시 반복하자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터에서 그러한 상황을 드물게 접하거나, 아예 접하지 않는다.

 

이 표현은 Alexander Hill, Just Business: Christian Ethics for the Marketplace, 2nd edition, (Downers Grove: IVP Academic, 2008), 139-143쪽에 있다.

Albert Carr, “Is Business Bluffing Ethical?” cited in Scott B. Rae and Kenman L. Wong, Beyond Integrity: A Judeo-Christian Approach to Business Ethics, 2nd edition, (Grand Rapids: Zondervan, 2004), 26쪽.

Milton Friedman,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Business is to Increase its Profits," The New York Times Magazine, September 13, 1970. 

Alexander Hill, Just Business, 143쪽.

진실을 알 권리가 없는 사람의 경우

목차로 돌아가기

   진실 말하기라는 규범에 대한 예외의 또 다른 범주는 질문을 하는 사람이 진실을 알 권리가 없을 경우이다. 예를 들어, 어떤 범인이 총을 든 채 편의점을 털기 위해 들이닥쳤다면, 직원들은 그에게 돈이 어디에 있는지 진실을 말해줄 의무가 전혀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강도에게 거짓말을 하는 것을 정당하다고 여길 것이다. 그 사람에게 그가 사실을 알 권리가 없다고 설명하는 것이 그가 찾고 있는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과 다름없을 때도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그 사람이 알 권리가 없는 것을 알지 못하도록 막는 최소한의 거짓말이 용납될 수도 있다.

 

   이와 비슷하게, 당신이 기밀을 지켜야 하는 상황에서 이를 위반하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그들이 원하는 정보를 알 권리가 없다. 하지만 기밀 정보의 경우에는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의무가 거짓말을 정당화하진 않는다. 예를 들어, 당신이 인사과에서 일을 하고 있고 곧 해고될 사람들에 대한 기밀 정보를 알고 있다고 할 때, 누군가 당신에게 자신의 일자리가 보장이 되는지에 대한 "귀띔"을 해달라고 한다면, 당신에게는 기밀 사항을 지켜야 하는 의무가 있다.

 

   정보를 누설하는 것은 옳지 않은 일이지만, 거짓말을 하는 것도 똑같이 옳지 않은 일이다.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은 당신이 해당 주제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공개할 수는 없다고 밝히는 것이다. 만약 그 사람이 당신에게 우정을 호소하며 부탁을 하고, 그 정보가 필요한 이유가 그들이 집을 구매해 돈을 지불하려고 준비 중이라든가, 다른 종류의 금전적 지불을 약속하는 과정에 있다고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회사에 대한 충성심의 일환으로 반드시 기밀을 지켜야 하며, 그 사람에게는 그 질문에 대답할 수 없고, 정보를 누설했을 때 일자리를 잃을 수도 있는 상황에 처해지고 싶지 않다는 점을 이야기하라.

 

   강도의 예시와 기밀 정보 예시의 차이점은 인사과의 임원에게는 명백한 거짓말이 아닌 다른 선택권이 있었다는 점이다. 가게 점원은 강도에게 "돈이 어디 있는지 알고 있다고 해도, 당신에게 그 정보를 알려줄 수는 없습니다"라고 말할 수는 없다. 적어도 그 점원이 강도 사건에서 살아남고자 한다면 말이다. 하지만 인사과 임원에게는 그러한 선택권이 있었다. 이는 협상을 하고 있는 제품의 가격에 이윤이 얼마나 남는지 고객이 물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이에 거짓말로 대답을 할 필요는 없으며, 그러한 정보는 당신에게 공개할 권한이 없는 기밀 정보라고 말하면 된다. 이는 그 고객에게 정보를 알 권리가 없다는 것을 강조해 보여준다. 하지만 그 고객은 당신의 속임수에 넘어가지 않을 권리가 있다.

 

   속임수를 통해 당신의 행동에 대한 결과로부터 당신을 단순히 지킬 수 있는 상황에서는 더욱 모호하다. 예를 들어, 여러분의 고용주는 당신이 업무 시간 외에 무엇을 하는지 알 권리가 없다. 만약 당신이 하는 일이 상사나 동료들이 좋아하지 않을 법한 일이거나 지극히 개인적인 정보를 밝혀야 하는 일이라면 어떨까? 만약 누군가 지난 주말에 당신을 카지노에서 봤다고 한다면, 이를 부정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것은 괜찮을까? 인권 행진은 어떤가? 교회 예배는? 가정폭력의 피해자들을 위한 워크숍은? 이러한 종류의 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규칙은 성경이나 다른 곳에서도 찾기 어렵다. 하지만 대신 영적인 성숙함이 커짐에 따라 개인적인 어려움을 가져올 수 있는 상황에서도 진실을 밝힐 수 있는 능력이 함께 향상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얼마 전에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은 동료들에게 자신의 명예가 실추될까봐 두려워, 교회에 갔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걸 굉장히 어렵게 여길 수도 있다. 좀 더 성숙한 기독교인이라면 그러한 위험을 무릅쓸 수도 있으며, 그 상황을 자신과 동료들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바꾸어 나갈 능력이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들 중 가장 영적으로 성숙한 사람들이라도 만약 기독교로의 개종이 불법인 국가에 살고 있다면, 적어도 하나님의 택하심의 때와 장소가 도래하기 전까지는 이를 숨기기 위해 다른 이들을 속이기로 결정할 수도 있다.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는 히틀러를 향한 자신들의 반발을 숨기기 위해 나치에게 "하일, 히틀러!(히틀러 만세)"를 외치라고 친구들에게 조언한다.[1] 여기서도 그렇듯, 좀 더 명확한 예시를 들기 위해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이 일터에서 마주하지 않을 법한 상황들을 들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그리스도인들에게 있어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성장은 스스로를 거짓 없이 좀 더 솔직하게 드러내고자 하는 태도의 성장을 의미한다.

 

Eberhard Bethge, Dietrich Bonhoeffer (HarperCollins, 1977), 585쪽.

알 권리가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한 속임수

목차로 돌아가기

   어떠한 조직이 알 권리가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해 속임수가 필요한 경우가 더러 있다. 이는 본질적으로 앞서 언급한 국가정보를 목적으로 한 속임수와 같은 예외의 경우이며, 다른 직장에서도 적용된다. 예를 들어, 당신이 법정에 출두하기를 꺼려하는 사람들에게 법원 명령을 전달하는 일을 하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만약 처음부터 당신이 누구이며, 왜 그들과 연락을 하고자 하는지 밝힌다면, 그들은 아마 자신이 누구인지 밝히지 않으려 할 것이다. 하지만 당신의 일은 법체계의 기능에 있어 매우 필수적이다.

 

   또는 미스터리 쇼핑(mystery shopping)의 경우를 생각해보자. 이는 많은 소매업, 의료, 숙박 등의 서비스 회사들이 품질 평가를 위해 사용하는 한 방법으로, 손님으로 가장한 채 자신들의 매장을 방문해 서비스를 평가하는 것이다. 브랜드가 약속하는 것을 손님들이 실제로 경험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선 그러한 정보가 필수적일 수 있다.[1] 일반 고객들과 동일하게 대우받기 위해, 미스터리 쇼퍼들은 그들이 받는 서비스를 회사에 보고한다는 사실을 반드시 숨겨야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스터리 쇼퍼들은 자신들이 속한 조직이 알 권리가 있는 정보를 얻고자 노력하는데, 이러한 정보는 속임수 없이는 얻을 수 없다.

 

   알 권리가 없는 사람에게 속임수를 통해 정보를 보호하는 것이 정당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는 것처럼, 여러분이 알 권리가 있는 정보를 얻고자 속임수를 쓰는 것 또한 정당하게 여겨질 수 있다. 이와 동일한 접근법은 "경쟁사 미스터리 쇼퍼"를 보냄으로써 경쟁사의 고객 서비스, 가격 등을 알아내고자 할 때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좀 더 불확실한 윤리적 근거를 지니고 있다. 미스터리 쇼퍼가 단순히 공개되어 있는 가격이나 대화, 환경 등을 관찰하는 것이라면 그 어떠한 속임수도 사용되지 않는다. 하지만 만약 경쟁사 미스터리 쇼퍼에게 누군가 그들의 신분과 하는 일을 물었을 때, 거짓된 정보를 주는 것은 비도덕적인 일일 것이다. 더욱 심한 경우는 경쟁사에게 전화를 걸어 신분을 위장한 채 그 경쟁사가 속지 않았다면 대답하지 않았을 질문들을 하는 것이다.[2]

 

 

Mystery Shoppers Providers Association, www.mysteryshop.org/your-business, accessed March 20, 2013.

ValueNotes blog, blog.valuenotes.biz/ethics-of-mystery-shopping/, accessed March 20, 2013.

알 권리가 없는 정보

목차로 돌아가기

   지금까지는 알 권리가 있는 정보를 얻기 위한 속임수에 대해 이야기해왔다. 이는 알 권리가 없는 정보를 얻기 위해 속임수처럼 다른 방법을 사용하는 산업 스파이와는 다른 것이다. 산업 스파이는 흔히 상대 기업의 제품, 전략, 재무, 인사, 연구개발 등을 목표로 삼는다. 이는 비도덕적이며 불법적인 일이다. 스파이 행위를 하는 조직에게는 그 정보를 알 권리가 없으며, 그 정보를 얻고자 속임수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도 없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떠한 기업들은 직원들을 논문 쓰는 대학원생으로 위장해서 경쟁사의 내부 정보를 얻으려고 시도하기도 한다. 직원들은 경쟁사에게 자신들이 그 정보를 다르게 바꾸거나 전체적으로 합계를 낼 것이라고 이야기하거나 암시를 줄 수도 있다. 이는 명백한 불법 행위이다. 이는 사기 행위를 통해 경쟁사가 알 권리가 없는 정보를 얻어내고자 하는 산업 스파이의 전형적인 예시이다.

 

   산업 스파이에 간접적으로 해당되는 상황은 알 권리가 없는 정보를 속임수 없이 얻게 된 경우다. 예를 들어, 당신이 진출하고자 하는 도시의 호텔에서 하룻밤 묵게 된 영업 담당자라고 해보자. 우연하게도 그 호텔방은 전날 경쟁사의 영업 담당자가 묵었던 방이었고, 그는 제안서 사본을 서랍에 두고 갔다. 그 제안서를 한번 훑어보기만 하면 그 경쟁사의 가격, 조건, 그리고 그 회사가 추천하는 제품에 대해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로 인해 결정적인 경쟁우위를 지니게 될 수도 있다. 당신에게는 그 정보를 습득할 권리가 없으며 실제로 (대부분의 경우) 그 제안서는 "기밀정보"라고 분명히 명시되어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 정보를 얻기 위해 누군가를 속인 것은 아니다. 이를 그저 행운으로 여겨야 할까 아니면 실수로 제안서를 호텔방에 두고 간 경쟁사의 실수에 대한 마땅한 결과라고 봐야 할까?

 

   우리가 지금까지 다뤘던 원칙은 "알 권리가 있는" 정보였기 때문에, 이 상황에 대한 유일하게 일관된 답은 제안서를 훑어보거나 다른 방법으로 당신과 회사가 그 제안서 내용을 알게 되면 안 된다는 것이다. 평판이 좋은 대부분의 회사들은 경쟁사의 기밀 정보를 알게 되거나 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정책을 지니고 있다. 경영자나 간부들이 만약 윤리적이라면 자신들의 회사가 알 권리가 없는 정보를 사용하는 것을 엄격히 금지하기 위해 이러한 정책들을 시행할 것이다.

 

다른 이들은 알 권리가 없는 정보를 보호하는 것의 사회적 영향

목차로 돌아가기

   알 권리가 없는 정보에 대해 부당한 방법을 사용해놓고 정당하다고 주장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행동에 대한 장황한 변명처럼 보인다.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그럴 수도 있다. 하지만 사회적인 차원에서 사람이나 조직이 타인이 알 권리가 없는 정보를 공개하지 못하도록 방지하는 장치가 없다면, 사회는 피해를 입을 수도 있다. TOW 프로젝트에 보고된 다음 이야기를 살펴보자.

 

나는 대형 제약회사에서 경영진과 전문가들이 제품 품질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조사할 수 있도록 이들을 교육하는 일을 했다. 어떤 제품이 품질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채로 제조되고 판매된 것이 발견되면 무슨 원인 때문에 그러한 상황이 일어났는지 밝히기 위한 조사에 들어간다. 조사 과정에서 의심되는 원인들의 목록을 적은 후, 실험을 통해 논리적으로 하나씩 배제시켜나가면서, 발견된 문제에 가장 적합한 원인이 무엇인지 추가적인 실험을 해나가는 것이 전문적 방식이다. 이는 의사가 이해하기 어려운 일련의 증상들을 진단하는 과정과 전반적으로 비슷하다. 타당하며 가능성 있는 다른 원인들을 하나씩 배제해나가지 않고 성급하게 결론에 도달하는 것은 의료 과실이다.

 

하지만 그 회사의 법무팀은 경영진에게 예상되는 원인들을 적은 목록의 기록을 남기지 말라고 조언했다. 그러한 기록들이 법정에 소환되었을 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다른 이유로 그 회사를 누군가 고소해서 제품 결함의 가능성 있는 원인들을 적어둔 긴 목록을 찾아낸다면, 회사가 제조 과정에 많은 결함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서도 이를 시정하기 위한 노력은 전혀 하지 않는다는 잘못된 인상을 심어줄 수 있기 때문이다.[1]

 

   이러한 상황에서 제약회사는 품질 관리를 개선하는 데 사용된 내부 정보를 지니고 있다. 그 회사는 만약 소송에서 정보에 대해 알 권리가 없는 원고에게 정보가 공개된다면, 오해를 가져올 수 있으며 회사에게 손해를 끼칠 수도 있다고 믿는다. 어쩌면 이는 정당하다고 볼 수도 있다. 사법 체계에서 기밀 정보에 대한 권리를 존중받지 못할 수도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는 품질 관리를 개선시키기 위해 필요한 정보 기록을 하지 못하도록 절차를 변경해버린다. 그 결과, 제약 제품의 품질이 정보 기록을 했을 때보다 높지 않아 대중에게 피해가 돌아가게 된다. 당신은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한 사회적 결과를 가져오는 문제라는 사실을 알아야 할 권리가 정확히 누구에게 있는지에 대한 제약회사의 의견에 동의할 필요는 없다. 기밀 정보를 지키고자 하는 권리는 정보를 알 권리가 없는 이들에게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속임수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해 속임수를 쓰면 안 된다는 넓은 의미에서 다뤄지기엔 너무나 복잡하다. 적어도 타락한 세상에서는 진실과 거짓이 실제로 복합적인 문제들이며, 심지어 성경적 원칙에 비추어 보았을 때도 그렇다

 

정보원의 요청에 의해 이름은 공개하지 않았다. 2011년 8월 23일 LA의 Biola대학에서 본 아티클의 초안을 논의할 때 언급됨.

진실과 거짓에 대한 결론

목차로 돌아가기

   이 글에서 이뤄진 대부분의 논의는 진실 말하기의 규범에 대한 예외 사항들이었지만, 이 때문에 진실 말하기가 도덕적 규범이 아니라고 잘못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정직함과 속임수에 대한 기본적인 성경적 관점은 진실을 말하고 그로 인한 결과를 받아들이라는 것이다. 이 규범에 대한 예외에는 애매한 부분들이 있다. 예외가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은 (과대광고나 포커 게임의 경우처럼) 진실이 말해질 것으로 기대되지 않을 때, (허풍의 경우처럼) 드문 일이지만 모든 사람들이 규칙을 알고 있음이 확실할 때, (기밀 정보를 보호하는 경우처럼) 다른 사람이 정보에 대해 알 권리가 없을 때, 그리고 (코리 텐 붐과 나치대원들의 경우처럼) 진실 말하기가 다른 중요한 도덕적 가치와 충돌할 때이다. 이 규범에 대한 예외 사항들은 흔히 일어나지 않는 상황들이다. 그리고 직장에서 진실 말하기가 적용되는 방식을 결정하지도 않는다.

 

   베스트셀러 작가인 제임스 스튜어트(James Stewart)는 최근 출판된 책 <얽힌 거미줄: 거짓 진술들이 미국을 어떻게 망치고 있는가(Tangled Webs:How False Statements Are Undermining America)>[1]에서 진실 말하기를 사회의 중요한 도덕적 가치로 다시 회복시켜야 된다고 주장한다. 사회적 결속력을 위해 정직함이 필수적이라는 그의 주장은 사회의 다른 요소들뿐만 아니라 직장에도 적용된다. 그는 속임수로 인한 피해, 즉 피해자의 삶이 망가지고 재정적인 재앙을 초래한 사건들을 연대기식으로 기록하고 있다.

 

   진실 말하기는 그리스도인의 세계관에 있어서 중요한 도덕적 가치이기도 하다.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은 예수님의 길과 진리와 생명 속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인은 우리가 앞서 살펴본 방법들에 따라 진실 말하기의 명백한 예외들을 실천해야 하며, 때로는 그렇게 하는 것이 우리의 의무일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의 진실에 대한 사랑이 예외의 범위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축소시키기를 소망하도록 하자.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사람들은 과장, 허풍, 혹은 상대가 진실을 기대하는 상황에서 거짓을 말함으로써 이득을 얻고자 할 것이다. 하지만 이 땅에 하나님 왕국의 도래를 추구하는 사람들은 진실이 기대되지 않는 상황에서조차 진실을 말함으로써 이웃들을 섬기고자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가장 많이 던져야 하는 질문은"이것이 정당한 것인가?"가 아니라 "하나님의 왕국이 도래했을 때 이러한 방식으로 일이 진행될까?"라는 질문이다.

 

James B. Stewart, Tangled Webs: How False Statements are Undermining America: From Martha Stewart to Bernie Madoff (New York: Penguin Press, 2011).

진실과 거짓에 대한 주요 성경 말씀들

목차로 돌아가기

말씀

주제

창3:13       뱀이 나를 꾀므로

속임수/사기/기만

창29:25      내가 라헬을 위하여 외삼촌을 섬기지 아니하였나이까? 외삼촌이 나를 속이심은 어찌됨이니이까?

속임수/사기/기만

창31:20,26         야곱이 라반을 속이다... "네가 나를 속이고" 

속임수/사기/기만

레19:11       속이지 말며 서로 거짓말하지 말며

속임수/사기/기만

욥11:11        하나님은 허망한 사람을 아시나니

속임수/사기/기만

시32:2      마음에 간사함이 없고 여호와께 정죄를 당하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속임수/사기/기만

시101:7    거짓을 행하는 자는 내 집 안에 거주하지 못하며

속임수/사기/기만

시120:2    여호와여 거짓된 입술과 속이는 혀에서 내 생명을 건져주소서

속임수/사기/기만

잠14:5       신실한 증인은 거짓말을 아니하여도 거짓 증인은 거짓말을 뱉느니라

속임수/사기/기만

사53:9        그는 강포를 행하지 아니하였고 그의 입에 거짓이 없었으나

속임수/사기/기만

막7:21-22 속에서 곧 사람의 마음에서 나오는 것은 악한 생각 곧 음란과 도둑질과 살인과 간음과 탐욕과 악독과 속임과...

속임수/사기/기만

롬1:29       곧 모든 불의, 추악, 탐욕, 악의가 가득한 자요 시기, 살인, 분쟁, 사기, 악독이 가득한 자요 수군수군하는 자요...

속임수/사기/기만

롬16:18     이 같은 자들은 우리 주 그리스도를 섬기지 아니하고 다만 자기들의 배만 섬기나니, 교활한 말과 아첨하는 말로 순진한 자들의 마음을 미혹하느니라

속임수/사기/기만

벧전2:1      모든 악독과 모든 기만과 외식과 시기와 모든 비방하는 말을 버리고

속임수/사기/기만

창42:16      내가 너희의 말을 시험하여 너희 중에 진실이 있는지 보리라

진실/정직함

시15:1-3   여호와여 주의 장막에 머무를 자 누구오며, 주의 성산에 사는 자 누구오니이까? 정직하게 행하며 공의를 실천하며 그의 마음에 진실을 말하며 그의 혀로 남을 허물하지 아니하고 그의 이웃에게 악을 행하지 아니하며 그의 이웃을 비방하지 아니하며

진실/정직함

잠12:17     진리를 말하는 자는 의를 나타내어도 거짓 증인은 속이는 말을 하느니라

진실/정직함

잠12:19     진실한 입술은 영원히 보존되거니와 거짓 혀는 잠시 동안만 있을 뿐이니라

진실/정직함

잠14:25     진실한 증인은 사람의 생명을 구원하여도 거짓말을 뱉는 사람은 속이느니라

진실/정직함

잠22:21     네가 진리의 확실한 말씀을 깨닫게 하며 또 너를 보내는 자에게 진리의 말씀으로 회답하게 하려 함이 아니냐.

진실/정직함

요14:6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진실/정직함

요16:13      그러나 진리의 성령이 오시면 그가 너희를 모든 진리 가운데로 인도하시리니

진실/정직함

요17:17      아버지의 말씀은 진리니이다

진실/정직함

요일5:6       증언하는 이는 성령이시니 성령은 진리니라

진실/정직함

출20:16/신5:20       네 이웃에 대하여 거짓 증거 하지 말라

허위

시52:3      네가 선보다 악을 사랑하며 의를 말함보다 거짓을 사랑하는도다

허위

잠30:8       곧 헛된 것과 거짓말을 내게서 멀리 하옵시며

허위

엡4:25        그런즉 거짓을 버리고 각각 그 이웃과 더불어 참된 것을 말하라

허위

욥27:4          결코 내 입술이 불의를 말하지 아니하며 내 혀가 거짓을 말하지 아니하리라

거짓말/거짓

시10:7      그의 입에는 저주와 거짓과 포악이 충만하며 그의 혀 밑에는 잔해와 죄악이 있나이다

거짓말/거짓

골3:9         너희가 서로 거짓말을 하지 말라 옛 사람과 그 행위를 벗어 버리고

거짓말/거짓

딛1:2          거짓이 없으신 하나님이

거짓말/거짓

잠20:17     속이고 취한 음식물은 사람에게 맛이 좋은 듯하나 후에는 그의 입에 모래가 가득하게 되리라

사기

창30:33      후일에 외삼촌께서 오셔서 내 품삯을 조사하실 때에 나의 공의가 내 대답이 되리이다

정직/정직함

레19:36       공평한 저울과 공평한 추와 공평한 에바와 공평한 힌을 사용하라. 나는 너희를 인도하여 애급 땅에서 나오게 한 너희의 하나님 여호와이니라(신25:15, 잠16:11 참고)

정직/정직함

왕하12:15    또 그 은을 받아 일꾼에게 주는 사람들과 회계하지 아니하였으니, 이는 그들이 성실히 일을 하였음이라

정직/정직함

잠16:13     의로운 입술은 왕들이 기뻐하는 것이요

정직/정직함

잠24:26     적당한 말로 대답함은 입맞춤과 같으니라

정직/정직함

마5:37     오직 너희 말은 옳다, 옳다, 아니라, 아니라 하라. 이에서 지나는 것은 악으로부터 나느니라

정직/정직함